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지명을 철회한 이진숙(왼쪽)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각종 논란에도 임명 수순을 밟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을 강행할 참이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표절 의혹,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파문이 잇따라 불거졌고 해명이 충분치 않아 둘 다 일찌감치 낙마 대상으로 꼽혀왔다.
오래 고심할 사안이 아닌데도 시간을 끌더니 교수 출신 외부 인사를 내치면서 끝내 여당 현역 의원은 살렸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 고공 행진만 믿고 국민 눈높이를 외면하는 오만한 행태다.
팔이 안으로 굽은 이중잣대는 더 문제다.
진보성향의 참여연대와 여성단체, 전교조마저 두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해 막다른 골목에 몰린 상황이었다.
하지만 여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만 타깃으로 삼아 폭탄을 떠넘겼다.
강득구 의원은 “연구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한 결격 사유”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반면 제 편인 강 후보자는 쏙 뺐다.
오히려 “힘내시라”(정청래 의원)고 감쌌다.
제 식구엔 온정주의 일색이던 윤석열 정권과 다를 바 없다.
성남시장 시절 “물소 떼가 강을 건너듯이 각료는 한꺼번에 임명해야 한다”던 이 대통령의 발언이 현실화됐다.
야당과 여론의 전방위 공격을 모면하기 위해 희생양으로 이 후보자를 콕 집어 관심을 돌리려는 얄팍한 의도로 볼 수밖에 없다.
설명도 군색하기는 마찬가지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이라고 전했다.
“다양한 경로로 여러 의견을 충분히 경청했다”지만 과연 상식에 맞는 결정인지, 민의가 제대로 전달된 것인지 의문이다.
현장을 직접 찾아 다니며 소통을 중시하던 이 대통령이 되레 여론과 담을 쌓은 격이다.
2000년 인사청문회 도입 이후 현역 의원의 낙마 사례가 없다는 요상한 관행을 거론할 일이 아니다.
야당은 지리멸렬하고 이 대통령 지지율은 높다고 안이하게 상황을 판단했다면 오산이다.
이런 식으로 국민을 무시한 채 지지자들마저 부끄럽게 만드는 행태는 용납될 수 없다.
강 후보자에 대한 지명도 철회돼야 마땅하다.
민심은 언제 성난 파도로 돌변할지 모른다.
[사설] 이진숙 희생양으로 강선우 살리기, 민심 외면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