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변명으로도 국민에게 끼친 상처 해소되기 어려울 것"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동국대학교 홈페이지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이 올해 펴낸 저서에서 12·3 불법 계엄을 "민주적 폭거에 항거한 비민주적 방식의 저항"이라고 옹호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국민에게 상황의 답답함과 막막함을 알리는 방식으로 계엄을 선택한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경고성 계엄'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비판이 커지자 강 비서관은 공식 사과 입장을 내놨지만, 본인 거취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드러내지 않아 논란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내란 종식을 외치며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기조와 180도 다른 철학을 가지고 있는 인사가 발탁된 배경을 두고 당장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 시스템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발간한 저서 '야만의 민주주의'를 통해 "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야당의 민주적 폭거에 항거한 비민주적 방식의 저항이라고 정의한다" 고 밝혔다.
"정부가 일을 할 수 없을 지경으로 손발을 묶는 의회의 다수당의 횡포를 참을 수 없어 실행한 체계적 행동이었다"고도 했다 .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을 받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선 사실상의 '무죄'를 주장했다.
"계엄으로 인해 사람이 죽거나 다치거나 국민의 기본권이 제약되거나 자유가 침해됐다면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고 옹호하면서다.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극우세력이 제기하는 논리와 유사한 주장을 그대로 반복하고 나선 것이다.
또 "대통령의 권한인 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계엄=내란'이란 프레임의 여론 선동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는 주장 도 펼쳤다.
그는 책 발간 당시 유력 대권 주자였던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향해 독선적인 국정운영이 우려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강 비서관은 "야당 후보가 이재명만 아니라면 문재인 정권 시절보다 못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강력한 공포의 전체주의적, 독선적 정권이 될 것 같다는 불안감이 매우 크다" 고 적었다.
또 2020년 7월 이병태 전 카이스트 교수가 대표로 있던 ‘경제지식네트워크’ 주최 강연에선 "민주당과 정의당이 있는데 조금 지독한 빨갱이와 그냥 빨갱이의 느낌이 든다" 고 말했다.
논란이 커지자 강 비서관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언론보도를 통해 제게 가해진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국민에게 사죄드린다" 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수개월간 계엄으로 고통을 겪은 국민에게 제가 펴낸 책의 내용과 표현으로 깊은 상처를 드렸다.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어떤 변명으로도 국민에게 끼친 상처와 불편은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며 "지금이라도 철저한 성찰을 바탕으로 세대와 계층, 이념으로 쪼개진 국민을 보듬고 통합하려는 대통령 의지를 완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 고 설명했다.
그러나 자신의 거취와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으로 당시 동국대학교 강준욱 교수를 임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