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지는 질환이다.
대부분은 눈꺼풀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근육의 힘이 약해져서 발생한다.
그런데 심각한 뇌질환, 뇌동맥류의 전조 증상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뇌동맥류는 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특별한 증상 없이 조용히 자라다가 한순간 터지면 치명적인 뇌출혈로 이어질 수 있어 ‘머릿속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전체 사망률이 50~60%에 달하며, 생존하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뇌동맥류는 대부분 뚜렷한 증상 없이 진행되지만, 동맥류가 급격히 자라면서 주변 뇌신경을 압박하면 ‘두통’,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 요통, 의식 저하 등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안검하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뇌동맥류가 눈꺼풀을 움직이는 신경이 마비시킬 수 있어서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신동성 교수는 “뇌동맥류 파열 시점을 예측하기란 어렵지만 한쪽 눈꺼풀이 갑자기 처지는 등 증상이 빠르게 악화하면 뇌동맥류 파열이 임박한 상태로 보고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뇌 안 ‘지주막’이라는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하면서 뇌압이 상승해 극심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실제 지주막하 출혈을 경험한 환자들은 ‘살면서 처음 느껴보는 극심한 두통’, ‘머릿속에서 천둥이 치는 느낌’이라고 표현한다.
뇌동맥류는 한 번 파열되면, 수술로 뇌출혈을 막았다 하더라도 이미 발생한 뇌 손상은 회복이 어려워 일상으로 돌아가기 쉽지 않다.
뇌동맥류는 MRI(자기공명영상)나 CT(컴퓨터단층촬영) 혈관조영술 검사로 확인한다.
머리가 아파서 검사하거나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터지지 않은 뇌동맥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대한신경외과학회는 크기가 4mm 이상일 경우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수술 방법으로는 ▲클립 결찰술(혈관 밖에서 튀어나온 동맥류를 클립으로 집어 혈류 차단), ▲코일 색전술(부푼 혈관 안에 금속 코일을 채워 혈류 차단)이 있다.
신동성 교수는 “뇌동맥류가 터지기 전에 발견되면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다”며 “한 번 터지면 생존하더라도 회복이 어렵고,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의 삶까지 크게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뇌동맥류의 원인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확실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가족력이 있거나 폐경 이후 여성이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폐경 이후, 혈관을 보호해 주던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서 45~50세 이상 여성에서 뇌동맥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다.
흡연 역시 뇌동맥류를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피해야 하고, 고혈압도 주의해야 한다.
고혈압 자체가 뇌동맥류의 원인은 아니지만, 혈압이 높을수록 뇌동맥류가 터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신 교수는 “뇌동맥류 파열은 갑자기 찾아오고, 한 번 터지면 삶 전체가 바뀔 수 있는 질환”이라며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혈압을 관리하고, 증상이 없더라도 가족력 등 위험인자가 있다면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늙어서 눈 처진 줄 알았는데… 사망률 50%인 ‘이 질환’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