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중국 완구 브랜드 ‘팝마트’의 캐릭터 인형 ‘라부부’(LABUBU) 수집 열풍이 심리적 불안과 갈등을 반영한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사진=AFP 연합뉴스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중국 완구 브랜드 ‘팝마트’의 캐릭터 인형 ‘라부부’(LABUBU) 수집 열풍이 심리적 불안과 갈등을 반영한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난 15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라부부는 홍콩 출신의 네덜란드 거주 아트토이 작가 룽카싱이 디자인한 캐릭터로, 토끼처럼 긴 귀와 뾰족한 이가 드러난 커다란 입, 동그란 눈이 특징이다.
북유럽 숲의 엘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다.
해당 인형은 중국을 넘어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유럽, 중동 등으로 인기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새벽부터 줄을 서거나 매장 내 충돌이 발생하는 등 과열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블랙핑크 리사, 리한나, 두아 리파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SNS에 소장 인증샷을 올리면서 전 세계적 수요가 폭발했다.
지난달 중국 베이징에서는 희귀 라부부 인형이 약 2억 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임상 심리학자 트레이시 킹은 “Z세대는 팬데믹과 경기 침체, 기후 위기 등을 겪으며 이전 세대와 달리 미래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며 “라부부 수집은 이들이 통제할 수 없는 환경에서 느끼는 불안을 줄이기 위한 심리적 반응”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전 세대는 주택 담보 대출과 연금 등을 목표로 삼고 저축했지만, Z세대는 ‘지금 이 순간’에 투자하고 있다”며 “Z세대가 장난감을 수집하는 것은 미성숙해서가 아니라 감정적 치유의 한 형태”라고 했다.
심리학자 다니엘 글레이저 박사도 “Z세대는 경제적 불안과 팬데믹이라는 환경 속에서 성인이 됐으며, 불확실한 세상에서 작은 소비를 통해 즉각적인 만족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과도한 수집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실험 심리학자 에마 팔머 쿠퍼 박사는 “수집이 강박으로 이어질 경우 과도한 소비를 유발해 해로울 수 있다”며 “이는 깊은 감정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행동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완구 기업 팝마트의 캐릭터 인형 ‘라부부’./사진=AFP 연합뉴스
한편, 실제로 사람들은 불확실한 환경에 놓이면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안정감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수집’은 이런 심리의 대표적 행위로, 자신의 환경을 정리하고 작은 목표를 달성하면서 통제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2022년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에 따르면, 외부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느낄수록 수집이나 정리처럼 반복적이고 구조화된 활동을 통해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려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행동도 지나치면 금전적 과소비나 강박적 집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 세계적 열광… Z세대가 ‘라부부’에 빠진 의외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