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사태 재발 않도록 각별히 노력"
노조 "사장 입장 표명 사과로 받아들여"
황대일 연합뉴스 사장이 지난해 11월 특정 기자와 데스크 등을 상대로 기사 송고·지연·수정 경위를 캐묻는 방식의 ‘보도 감사’를 진행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 노조는 황 사장의 유감 표명이 늦었지만 사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황대일 연합뉴스 사장. /연합뉴스
황 사장은 16일 입장문에서 “연합뉴스 징비록을 작성하려는 시도가 의도치 않게 편집권 침해 논란을 불러와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황 사장은 노조에 알리지 않고 개정한 감사규정도 “조만간 삭제 등 필요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황 사장은 지난 14일 노조 사무실로 찾아와 노조 집행부에 사과의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황 사장은 지난해 10월10일 취임사에서 ‘연합뉴스판 징비록’ 작성을 언급하며 “날조·왜곡·편파 기사가 폭주하고 근무 기강이 무너진 원인 등을 세밀하게 점검하겠다”고 했다.
감사실은 감사의 목적에 없던 ‘공정성’을 감사규정에 추가하고, 몇몇 기사를 특정해 기자와 데스크 등에게 기사가 왜 늦었는지, 특정인에 대한 언급을 왜 뺐는지, 속보를 다량으로 발송한 이유 등을 물었다.
노조와 편집국 기자들을 중심으로 편집권 침해라는 반발이 커지자 감사실은 1개월 만에 조사를 중단했다.
황 사장은 “연합뉴스 징비록은 데스크나 실·국장, 경영진 등의 관행과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요긴할 것으로 판단했다”면서도 “진상을 파악하고 정리하려는 과정에서 효율성에만 집착한 것은 저의 오판이었다”고 했다.
그는 “취임 직후에 열정과 의욕을 앞세우다 빚어진 일인 만큼 유사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는 17일 황 사장 입장 발표와 관련한 성명을 내어 “황 사장이 징비록 작성, 감사규정 개정, 보도 감사 등 지난 6개월간 불거진 사태에 대해 사실상 사과하는 입장문을 게시했다”면서 “늦었지만 공개적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 게 바람직한 태도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연합뉴스지부는 “황 사장이 취임식 때 ‘노조 일각’, ‘정치권 뒷배에 힘입어 인사 특혜를 누리는 부조리’ 등을 언급하며 ‘징비록’을 작성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사태를 촉발시켰다”면서 “일련의 사태에 대한 지난 반년 간 항의·공문·성명 등으로 문제를 제기했으나 모르쇠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황 사장이 자신의 오판을 인정하고 논란을 빚은 감사규정을 삭제하겠다고 약속했다는 점도 참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황 사장이 징비록 작성의 실무 책임자에 대한 인사조치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면서 “황 사장이 결자해지의 자세로 일련의 사태를 수습하지 않는다면 노조는 또 다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사장, 감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