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전략·11개 세부과제 구성
“AI 3대 강국 도약에 앞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KOTRA AI 위원회’를 신설하고, 수출 1조 달러 시대를 위한 인공지능(AI) 활용 수출지원체계 개선과 국가 AI 생태계 글로벌화 지원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AI 인프라 구축 ▲AI 산업·기업 육성, ▲AI 국가인재 양성 ▲AI 제도개혁, ▲AI 활용 확대의 5대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이에 KOTRA는 강경성 사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AI 위원회를 신설하고, 조직 내 AI 관련 사업과 인프라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했다.
특히 국내 대표 AI 전문가인 장병탁 서울대 교수와 윤종영 국민대 교수를 외부위원으로 위촉해 전략 수립과 실행의 전문성을 강화했다.
이날 KOTRA는 위원회 출범과 함께 ‘대한민국 무역투자의 AI 대전환 선도기관’이라는 비전을 담은 ‘KOTRA AI 전략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해당 전략은 ▲AI 활용 수출지원체계 개선 ▲국가 AI 생태계 글로벌화 지원 ▲공사 AI 활용 확대라는 3대 전략과 11개의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AI 활용 수출지원체계 개선’을 위해 AI 수출비서 도입, AI 기반 디지털무역 지원사업 인프라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AI 수출비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대화형 통합서비스 창구로서, 향후 기업의 비정형 질문과 요청을 해결하고 정보 취득·의사 결정·마케팅 실행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 AI 생태계 글로벌화 지원은 KOTRA의 ‘해외진출 확대’와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지원한다.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AI 산업 해외진출 지원 강화 ▲K-그리드 중심 AI 유관분야 수출지원 확대 ▲글로벌 AI 혁신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한다.
AI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AI 동향 조사 및 전파 ▲해외 AI 기업 투자유치 ▲해외 AI 인재 유치를 적극 추진한다.
특히 해외 AI 인재 유치를 위해, 올해 KOTRA에 설치된 ‘해외인재유치센터’의 대상 분야에 AI 산업을 추가하고, 미국·유럽·인도 등의 우수한 AI 인재를 발굴할 계획이다.
공사 AI 활용 확대를 위해서는 ▲AI 활용 일하는 방식 개선 ▲국내기업 AI 솔루션 활용으로 업무 생산성 향상 ▲AI 문해력 강화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조직 내부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고, AI 중심 조직문화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AI 대전환 같은 거대한 판이 흔들릴 때일수록 더 많은 기회가 생간다”며 “KOTRA는 AI 활용 수출지원체계 개선과 국가 AI 생태계 글로벌화 지원을 통해 수출 1조 달러 시대와 AI 3대 강국 도약을 앞당기는데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OTRA, AI 위원회 출범…수출 1조 달러 시대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