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어디까지 아세요
능선따라 세 오름
하늘에서 본 별도봉. 왼쪽 아래가 4.3유적지인 곤을동 터다.
제주시 원도심 동쪽에 솟은 사라봉紗羅峰은 제주의 관문으로 통한다.
바로 아래에 제주여객터미널이 있고 멀지 않은 곳에 제주국제공항까지 있다.
각지에서 제주를 드나드는 모두에게 다정한 인사를 건네는 오름이다.
지리적 위치로 인해 일찍부터 공원으로 조성되어 많은 시민의 사랑을 받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라봉에서 능선으로 이어진 알오름과 별도봉을 묶어 한꺼번에 탐방한다.
금세 닿는 정상, 그러나 이제부터 시작 사라봉은 제주시를 대표하는 공원답게 들머리가 많아 접근이 편하다.
탐방로 정비도 잘되어 있다.
여러 들머리 중 넓은 주차장과 화장실을 갖춘, 건입동의 사라봉공원주차장에서 오르는 길이 가장 인기다.
화산암을 반듯하게 깎아 만들어진 널찍한 계단이 정상부까지 이어진다.
길 중간에 시커멓게 아가리를 벌린 일제동굴진지도 만난다.
해발고도 148m에 불과한 낮은 봉우리라 들머리에서 정상까지 한달음에 닿을 수 있다.
그러나 사라봉은 정상에 올랐다가 그냥 내려서는 오름이 아니다.
정상에서부터가 본격적인 탐방의 시작이다.
4·3유적지 중 한 곳인 곤을동 터. 돌담만 덩그러니 남았다.
사라봉 정상부는 벚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벚꽃이 만개하는 3월 말이면 이 일대는 새하얀 벚꽃 잎을 날리며 상춘객을 불러 모은다.
정상엔 일출 명소인 망양정이 우뚝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이지만 팔방으로 뻗은 추녀선이 날렵하고, 난간이며 계단의 만듦새가 훌륭하다.
여기서 바라보는 제주항과 드넓게 펼쳐진 남해는 가슴을 뻥 뚫어 줄 만큼 시원스럽다.
망양정 옆으로 동쪽의 원당봉수, 서쪽의 도원봉수와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사라봉수가 눈길을 끈다.
그 앞엔 목책을 두른 진지동굴도 보인다.
'사라紗羅'라는 이름에 관해서는 몇 가지 해석이 전해 온다.
잔디로 뒤덮인 오름 사면에 석양이 비친 모습이 황색 비단을 펼쳐놓은 것 같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첫 번째 해석이다.
동쪽이라는 뜻의 우리 옛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 신성한 산 이름에 흔히 쓴 'ᄉᆞᆯ'에서 나온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한라산에도 같은 이름의 오름이 있다.
'애기업은돌' 근처에서 본 별도봉길. 눈이 호강하는 풍광이다.
독특한 칠머리당과 아름다운 별도봉길 망양정에서 올레길을 따라 동쪽으로 조금 내려선 울창한 해송 숲속에서 '제주 칠머리당'을 만난다.
사라봉과 알오름 사이 안부에 해당한다.
칠머리당은 제주의 선주와 어부, 해녀가 해신에게 무사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던 곳이다.
칠머리당에서는 해마다 음력 2월 초하루에 제주를 찾아온다는 영등신을 맞이하는 영등굿을, 14일에는 떠나보내는 송별제를 지냈다.
제주 사람들은 영등신이 떠나면서 제주에 봄이 시작되고, 떠나기 전에 해안을 한 바퀴 돌며 해산물의 씨를 풍성히 뿌린다고 믿었다.
사라봉은 제주시민들의 인기 산책코스다.
사철 사람들로 붐빈다.
칠머리당은 본래 건입동의 건입포에 있었는데, 제주항만 공사로 본 터가 헐리며 이곳저곳 떠돌던 것을 여기로 옮겨왔다.
현재 이곳엔 세 개의 신석神石만 모시고 당굿은 남쪽 아래에 있는 제주칠머리당영등굿전수관에서 치른다.
칠머리당을 사이에 두고 길이 나뉜다.
왼쪽은 제주올레 18코스, 오른쪽은 능선을 따라 알오름, 별도봉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칠머리당에서 언덕 같은 알오름을 지나 별도봉까지는 0.6km쯤이다.
대부분의 지도엔 '별도봉'이라 적혔지만 본디 이름은 '베리오름'이다.
'베리'는 바닷가 낭떠러지를 뜻하는 제주어다.
별도봉 또한 봉수대가 설치되었던 곳이다.
지금은 그 터에 산불감시초소가 서 있다.
별도봉에서 동쪽의 화북 쪽으로 내려서는 길이 무척 가파르다.
별도봉 동쪽 자락에 있는 잔디광장. 화북이 훤히 보이는 이 아래가 곤을동이다.
수많은 계단이 이어지는 그 길을 다 내려선 별도봉의 동쪽 자락 끝에 제주 4·3유적지인 '잃어버린 마을(곤을동)' 터가 있다.
화북천을 건너기 직전이다.
1949년 국방경비대에 의해 '안곤을'과 '가운데곤을', '밧곤을'의 67가구 모두가 불타고 인적이 끊긴 비운의 마을이다.
돌담만 덩그러니 남은 곤을동 터는 말없이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는 듯하다.
사라봉의 부록 같은 명소, 산지등대 사라봉-알오름-별도봉 탐방은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세 오름의 북쪽 산허리를 훑고 지나는 길이 무척 매력적이다.
제주올레 18코스인 이 길은 너무 아름다워서 쳐다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호강이다.
발아래로 제주항을 낀 바다가 청량하기 그지없다.
부드럽게 에두른 길 자체는 물론, 중간에 만나는 '애기 업은돌' 등 아름다운 풍광이 쉼 없이 이어진다.
제주올레 전 구간 중에서도 아름답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구간이다.
그러니 별도봉으로 내려선 후 이 길을 따라 돌아갈 일이다.
별도봉의 주상절리 절벽과 고래굴. 높낮이가 거의 없고, 걷는 내내 별도봉과 사라봉, 제주 앞바다가 어우러진 사이다 같은 풍광이 시야를 가득 채운다.
중간에 쉼터가 있어서 이 풍광을 즐기며 여유를 부리기에도 그만이다.
이 길은 아까의 그 칠머리당으로 이어진다.
칠머리당에서 사라봉 쪽으로는 길이 세 갈래로 나뉜다.
가운데가 사라봉, 왼쪽은 영등굿전수관과 국립제주박물관으로 이어지며, 오른쪽 길에 제주시를 대표하는 해양 문화유산인 '산지등대'가 있다.
벚꽃 만발한 사라봉의 봄. 일제강점기인 1916년, 무인등대로 건립된 산지등대는 그 역사가 110년을 헤아린다.
산지등대 입구엔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등대 16곳의 사진과 설명이 전시되어 있어 둘러보는 재미가 좋다.
1999년 현역에서 물러난 높이 8.1m의 옛 등탑 옆에는 높이 18m의 새 등탑이 우뚝하다.
옛 등대가 제 역할을 하던 때 등대지기가 사용하던 관사와 숙소 건물 중 일부는 현재 '카페 물결'과 '산지등대 갤러리'로 재탄생해 복합문화공간으로 이용된다.
사라봉 자락의 산지등대. 제주를 대표하는 해양 문화유산이다.
Info 교통 서귀포버스터미널에서 제주버스터미널을 오가는 201번, 한라수목원에서 동문시장을 거쳐 함덕까지 오가는 312번, 제주공항과 동문시장을 거쳐 삼양동을 오가는 316번, 326번 등의 간선버스가 사라봉 들머리가 가까운 사라봉오거리 버스정류장에 선다.
주변 볼거리 용연 제주시에서 가장 큰 하천인 한천이 바다를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호수다.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으로, 이곳에 사는 용이 승천해 비를 내리게 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양쪽의 깎아지른 절벽 사이로 구름다리가 놓여 용연의 신비로움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제주시 야경 명소로도 잘 알려진 곳이다.
용머리 형상의 바위인 용두암도 가깝다.
맛집 오현돼지불백 한치불고기백반이 대표 메뉴다.
예전부터 맛집으로 소문이 자자했는데, '허영만의 백반기행'에 소개되면서 문전성시를 이룬다.
매콤달콤한 양념이 진하게 밴 돼지고기와 쫀득한 식감이 일품인 한치를 함께 볶아 먹는다.
10가지쯤 나오는 밑반찬으로도 유명하다.
한치돼지불백 1만7,000원, 낙지돼지불백 1만6,000원, 2인 이상 주문 가능한 돼지불백은 1만4,000원. 문의 064-724-2861. 월간산 7월호 기사입니다.
오름 세 개 넘어, 아름다운 올레길 [사라봉·알오름·별도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