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마련된 의대생 복귀 상담센터 모습. 사진=한경 이솔 기자
올해 상반기 전공의 일부가 병원 현장에 복귀하면서 수도권 주요 대형병원의 전공의 수가 지난해 말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의정갈등 이전 수준에는 여전히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빅5’ 병원의 전공의 수는 올해 6월 말 기준 총 548명(인턴 113명·레지던트 4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12월 말 230명(인턴 17명·레지던트 213명)에서 약 2.38배 증가한 수치다.
병원별로 보면 ▲서울대병원 전공의 수는 67명 → 171명(2.55배) ▲세브란스병원은 46명 → 123명(2.67배) ▲삼성서울병원은 43명 → 106명 ▲서울아산병원은 35명 → 75명 ▲서울성모병원은 39명 → 73명 등으로 각각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는 올해 들어 병원 현장으로 복귀를 선택한 전공의들과 5월 진행된 추가 모집에 응한 전공의들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처럼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전공의 수는 의정갈등 이전과 비교하면 아직 20%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해 말 빅5 병원 전공의 수는 총 2742명(인턴 628명·레지던트 2114명)이었지만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는 80.01%가 감소한 상황이다.
병원별 감소율은 ▲서울아산병원 87.02% ▲세브란스병원 79.90% ▲서울대병원 76.89%로 나타났다.
“사직 전공의 절반은 취직” 의정갈등 장기화에 반쪽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