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케데헌’ 세계적 열풍 조명
‘미스테리’ 보컬 케빈 우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
전문가 “자지도 늙지도 않아···기업들 모방 가능성”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돌풍을 통해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결코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진단했다.
WSJ은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데헌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했다.
케데헌 속 ‘사자 보이스’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000만명에 달한다.
케데헌이 인기를 끌기 전까지만 해도 청취자 수는 1만명 수준이었다.
미 로스앤젤레스에서 만난 케빈 우는 WSJ에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이라며 “사람들은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지 못한다”고 말했다.
케빈 우는 사자 보이스 활동이 그룹 유키스 시절이나 브로드웨이 공연, 배우로서 활동보다 더 빛을 발하더라도 개의치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의미에선 내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장편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악귀와 맞서 싸우는 3인조 걸그룹 헌트릭스. 넷플릭스 제공
케데헌에 나오는 노래 중 두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다.
이는 BTS,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WSJ은 전했다.
그러나 가상의 아이돌이 미국 시장에서 실제 아이돌보다 더 빠르게 인기를 얻은 것은 변화를 모색하던 K팝 시장에 냉혹한 현실을 인식하게 했다고 WSJ는 짚었다.
특히 이는 음악 산업 전반이 ‘진짜인 척 하는 AI 음원’처럼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흐름과 마주하는 가운데 이뤄졌다는 것이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의 K팝 연구자 김석영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은 팬들이 비(非)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말했다.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 베니 차는 인간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AI 가수와도 작업한 경험이 있는 그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만들어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저승사자가 ‘아이돌’로서 찾아온다면?···전 세계 휩쓰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저승사자 복장으로 갓을 쓴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이 노래를 부르며 춤춘다.
‘내 황홀에 취해, you can't look away(눈을 떼지 못해).’ 강렬한 비트에 영어와 한국어가 섞인 가사, 대형을 맞춘 일사불란한 칼군무는 기시감이 든다.
‘이거 K팝인데?’ 갓 아래로 보이는 형형색색의 머리카락과 화려한 무대 효과 연출에 확신이 더해진다.
이건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6231720001
“인간 아이돌이 이루지 못한 수준”···‘케데헌’ 돌풍이 드러낸 K팝의 ‘냉혹한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