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극한호우 속 경북형 대피시스템으로 주민 안전 지켜내
'마~어서 대피' 시스템...마을순찰대 5696명 동원, 주민 547명 사전 대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극한호우 속에서도 인명 피해 '0'을 기록한 경북형 대응 시스템 '마~어서 대피'의 효과를 높이 평가하며, 향후에도 재난 예방을 위한 선제 대응과 예찰 강화를 강조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집중호우 기간 동안 청도군 416.5㎜, 고령군 358.4㎜, 경산시 333.9㎜, 산불피해지역인 안동시는 165.4㎜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특히 청도 각남면은 421㎜, 고령 우곡면은 360㎜에 달하는 극한 강우가 쏟아졌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사진=경북도청] 이 지사는 "극한 상황에는 과잉 대응이 생명을 지킨다"는 원칙 아래 '마~어서 대피' 시스템을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매일 김학홍 행정부지사와 박성수 안전행정실장이 주재하는 상황 판단 회의를 통해 실시간 대응을 이어갔다.
경북도는 △선제적 과잉대피 △마을순찰대 운영 △22개 시군에 도 실·국장 안전지원책임관 파견 △산불피해지역 전담관리반 24시간 운영 △'우리 마을 대피왕' 제도 시행 등 5대 특별대책을 마련해 대응에 나섰다.
그 결과 청도, 고령, 포항 등 10개 시군에서 총 395세대 547명이 선제적으로 대피했고, 도내 3445개 마을에 마을순찰대원 5696명이 배치돼 대피 유도, 배수로 정비,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지난 19일 문경시 산북면 가좌리 마을에서 재난대응 실전형 주민대피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청] 이 지사는 "도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와 사전 대피 덕분에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없었다"며 "'마~어서 대피'는 경북형 재난 대응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20일 기준 경북도 내 공공시설 3곳, 사유시설 2곳에서 피해가 발생했으며, 피해 규모는 총 18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청도군 송원저수지 제방 유실, 경주 평동 상수도 관로 파손, 성주군 주택 침수 및 농경지 피해 등이 포함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차 장마에 대비해 취약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장마가 끝날 때까지 최고 수준의 대응체계를 유지하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경북도가 최일선에서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19일 영주시 삼가리 마을에서 주민대피시스템 가동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청]
이철우 경북도지사 "과잉대응이 인명피해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