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CI 지표·시각화 분석…예산 효율과 시군 지원도 강화
3단계 맞춤 관리로 안전성↑, 도로 유지보수 예산 최적화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인공지능(AI) 기반 '경기도 도로 포장관리시스템(GR-PMS)'을 구축해 도로 파임(포트홀) 및 균열 등 노후화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고 20일 밝혔다.
GR-PMS는 기존 도로포장관리시스템(PMS)에 AI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융합해 고도화한 것으로, 도로의 포장 상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다.
경기도는 2017년 PMS 도입 이후 2020년부터 AI 분석을 추진해, 올해 51개 지방도 및 국지도 노선(4349km/1차로 환산)을 대상으로 정밀 상태 조사와 자체 포장상태지표(GPCI·Gyeonggi-do Pavement Condition Index)를 마련했다.
이 지표는 도로 구간별 포장상태 변화를 연도별로 시각화해 관리자가 손쉽게 보수 필요성과 상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설계됐다.
도로 상태는 중점관리(1년 새 파손 또는 균열률 급증), 부분보수(일부 구간 보수 필요), 지속관리(양호)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한다.
2024년~2025년 조사에서 51개 노선 중 중점관리는 6개, 부분보수는 28개, 지속관리는 17개 노선으로 집계했다.
이 분석결과는 경기도 건설본부 도로포장 유지보수 예산 편성과도 연계돼 보다 효율적인 도로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경기도는 시·군에도 이 기술을 확산해, 도내 전체 도로의 시설 관리와 노후화 대응 역량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강성습 도 건설국장은 “지방도 상당수가 30년 이상 되면서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돼, 예측과 적시 보수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GR-PMS 분석 기반을 31개 시·군과 공유해 도로 유지관리 체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AI 도로포장관리시스템 구축…51개 노선 맞춤 관리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