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왼쪽)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했다.
하지만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수많은 갑질 논란을 낳았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결격 사유는 아니라며 임명을 강행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께서는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면서 고심에 고심을 계속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을 하는 것으로 보면 되나’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뒤 “아직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중 이 후보자에 대해서만 지명을 철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인사권자로서 여러가지를 종합해 이런 결정을 했다는 점을 국민 여러분께서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앞서 지난 19일 여야 원내대표와 비공개 회동을 갖고 두 후보자의 임명 여부에 대한 의견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두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명확한 답변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진행은 여당 국회의원의 장관 지명 철회가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강 후보자는 보좌관에 대한 각종 갑질 의혹을 청문회 과정에서 제대로 해명하지 못했으며, 거짓 해명조차 했다.
여권 내에서도 임명 반대 의견이 나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보좌관들 사이에서도 “강 후보자가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여론이 강했다.
현역 의원인 강 후보자는 평소 갑질에 대해 강도높은 비판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런 그가 실제로는 보좌관들에 집안 일을 시키고, 수십명의 보좌관들을 자리에서 내쫓으며, 심지어는 쓰레기 분리 수거까지 지시한 것은 ‘위선’이라는 얘기가 비등했다.
이런 사람을 꼭 사회적 약자를 위하는 여성가족부의 수장으로 임명해야 하는가라는 여론도 적지 않았다.
그런데도 이 대통령은 이진숙 후보자를 지명 철회하는 대신 강 후보자를 임명하는 길을 선택했다.
국민들은 “이게 이재명 정부의 공정이냐”라고 묻고 있다.
정국은 이번 임명을 계기로 더욱 급랭할 것이며, 이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큰 부담이 될 것이다.
[사설] 李대통령, 李 지명철회·姜 임명수순… 국민 눈높이 미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