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20일 서울고검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채 해병 사망 관련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내용의 방첩사령부 문건을 확보한 것으로 20일 파악됐다.
특검팀은 최근 방첩사 소속으로 해병대 파견부대장이었던 문모 대령이 이른바 ‘VIP 격노설’의 진원지인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 이후 작성한 동향보고 문건을 확보했다.
문 대령은 채 상병 순직 사건이 발생한 2023년 방첩사 지휘부 등에 해병대 상황을 보고하고,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과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한 인물로 꼽힌다.
이 문건엔 당시 ‘임 전 사단장 등 간부 8명을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기로 한 해병대 수사단 초동수사 결과를 두고 임 전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빼라는 상부 지시가 있었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도 같은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특검팀은 이러한 지시가 당시 대통실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VIP 격노설이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임성근 전 사단장을 경찰에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피의자로 넘기겠다는 해병대수사단의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고 격노했다는 의혹이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등에 따르면 특검팀은 별도로 박진희 당시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이 2023년 8월 채 상병 사건을 재검토하던 국방부조사본부 소속 영관급 장교 A씨와 대화한 녹취록을 확보했다고 한다.
앞서 조사본부는 경북경찰청에서 국방부 검찰단이 기록을 회수한 뒤 사건을 재검토했고 2023년 8월 14일 임 전 사단장 등 6명에 혐의가 있다는 중간보고서를 만들었다.
녹취록에서 박 전 보좌관은 A씨에 ‘장관 지시’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혐의자를 줄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이후 조사본부는 임 전 사단장을 등을 빼고 대대장 2명만을 혐의자로 적시해 8월 21일 사건을 경찰에 이첩했다.
박 전 보좌관은 안보실 회의 당일 오후 2시27분 황유성 당시 방첩사령관과 2분32초간 통화하기도 했다.
특검팀은 이 통화내용도 확인할 방침이다.
한편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 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순직해병과 관련해 관계기관이나 공직자에게 청탁 등 어떠한 언급도 한 일이 없고 목회자 등에 부탁한 일이 없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지난 18일 ‘임 전 사단장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 극동방송 김장환 목사와 함께 이 목사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데 대해서다.
“임성근 혐의자서 빼라, 상부 지시” 특검 방첩사 문건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