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원문 대조 방식으로 ‘복제 수준’ 유사성 확인
이 후보자 “이공계 관행” 해명에도
학계 “명백한 윤리 위반” 반박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20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이 후보자의 논문은 사실상 복제물 수준”이라며 “자진 사퇴하고, 대통령실은 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했던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 단체가 참여한 연대기구다.
이들은 이날 이 후보자의 논문에 대한 2차 검증 결과를 발표하며 “일반 표절 탐지 프로그램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구조적 유사성’을 1:1 수작업 원문 대조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증단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충남대학교 재직 중 발표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와 제자 A씨의 박사학위 논문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 등이 주요 검토 대상이었다.
검증단은 “해당 논문들은 ▲같은 실험 설계 및 데이터 활용, 제목만 바꿔 중복 발표 ▲문단 구조와 결론이 거의 동일하고 표현만 일부 변경 ▲IRB(연구윤리심의), 사사(연구지원 표기) 미기재 등 기본적 연구 윤리 위반 ▲복수 논문 간 중복 게재 정황이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인사청문회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 “이공계 특성상 교수와 대학원생이 함께 연구하고 기여도에 따라 저자가 결정된다”라며 “연구 책임자인 제가 제1 저자로 등재된 것은 관행”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날 검증단은 “학위 논문이든 학술 논문이든 이 정도의 실험·문장·구조 일치는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로 간주된다”라며 “학계에선 심사 탈락이나 논문 취소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 유사도는 ‘이공계 관행’으로 합리화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며 “교육 수장을 맡기엔 부적격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계의 신뢰 회복을 위해 자진 사퇴하고 대통령은 지명을 철회하라”며 “필요시 국제 학술기구와의 연대 등 모든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범학계 검증단 “이진숙 논문, 복제물 수준…교육 수장 자격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