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부터 닷새 동안 전국에 내린 폭우로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다.
사망 14명, 실종 12명(20일 오전 11시 기준) 등 인명 피해가 30명에 육박하고 이재민은 1만 명을 넘어섰다.
시설 피해도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 1920건에 건축물 농경지 등 사유시설 2234건을 합쳐 4000건을 웃돈다.
시간당 최대 100㎜의 물폭탄이 쏟아진 극한 호우였지만 사전 예고돼 대비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너무 큰 피해다.
“대응을 잘못해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보인다”는 대통령 말처럼 충분한 준비로 빈틈없는 비상체계를 가동한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
고가도로 옹벽이 무너져 40대 운전자가 사망한 오산시에선 땅꺼짐 사전신고가 있었지만 대처가 미흡했다.
세종시에서도 경찰이 술 취한 40대 남성을 발견한 뒤 후속 조치를 소홀히 한 탓에 하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안타까운 사건이 잇따른 가운데 폭우 피해를 비껴간 대전 서울 등 몇몇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은 주목할 만하다.
전국 하천이 범람했지만 대전천 유등천 갑천 등 3대 하천이 관통하는 대전은 별다른 피해를 보지 않았다.
당진천, 홍성 갈산천, 도당천 등 주변 지역의 하천 범람과 대조적으로 홍수 경보조차 내려지지 않았다.
지역 환경운동가들의 수십 년 반대를 극복하고 작년 12월부터 바로 지난달까지 대대적 준설과 재해 예방공사를 진행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3년 전 역대급 물난리를 겪은 서울도 큰 피해를 비켜 갔다.
저지대·재해 취약지역 집중 관리, 경찰·군·소방과의 공조 강화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대전과 서울의 사례는 일선 지자체의 예방 의지와 실천이 재해예방의 핵심 요건임을 새삼 일깨워준다.
정부 여당은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하고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절차에 들어가는 등 부산한 움직임이다.
어제 하루 국무총리가 광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부여·산청 수해 현장을 돌며 복구 문제를 챙겼다.
발 빠른 대처를 환영하지만 ‘과하다 싶을 정도로 대처하라’던 대통령 지시가 무색해진 이유에 대한 점검도 병행해야 한다.
‘사고 후 허망한 뒷수습’이라는 오랜 타성을 깨는 실용정부의 모습을 기대한다.
[사설] 폭우 피해 최소화한 대전·서울, 예방 조치 중요성 일깨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