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이변에 재해 규모 갈수록 커져
방재시설 등 새 기준 맞춰 건설해야
사진=연합뉴스
지난 16일부터 시작된 '괴물 폭우'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중·남부 지역에 쏟아진 극한호우가 전국으로 확산되며 사망자와 실종자가 다수 발생했고 막대한 재산 피해가 났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8일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찾아 "과하다 싶을 정도로 피해·사고 예방 조치를 하겠다"고 밝히며 적극적 대응을 주문했다.
그럼에도 재앙과도 같은 피해를 피할 수 없었다.
재난 대응 시스템 전반을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전 세계적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대형 산불과 극한 폭염·홍수 등 경험하지 못한 자연재난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괴물 폭우가 전국을 할퀴기 전까지만 해도 극심한 가뭄으로 땅이 메말랐다.
가뭄대책을 논하는 중에 돌연 집중호우가 쏟아져 전국이 초토화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전혀 예측하지 못한 날씨 급변에 재난당국도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
문제는 이 같은 급격한 기후변동이 한두해만의 현상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미 기상이변은 지구촌 전체를 강타하고 있으며 겪어보지 못한 재난의 강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40도에 가까운 폭염과 가뭄은 일상화됐고 건조한 날씨에 산불의 규모도 초대형급이 됐다.
영화에서만 봤던 기후재앙이 우리나라에도 현실이 됐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지난봄 경북, 경남, 울산 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우리는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보았다.
전에 없던 산불에 허둥지둥대면서 재난 대응 시스템에 문제점이 드러났다.
올해 산불은 정예화된 전문 진화인력을 양성하고 산불 대응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한다는 숙제를 남겼고, 정부는 후속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화마의 피해가 복구되기도 전에 미처 대처할 새도 없이 닥친 극한호우도 복구 후 대비책을 논의해야 한다.
피해를 키운 원인을 잘 따져보고 대응체계를 점검해야 할 것이다.
홍수 대비 시설과 대응 매뉴얼은 과거 기후에 맞춰진 것이므로 새 기준을 세우고 그에 맞는 인프라를 건설해야 한다.
재난을 막을 수 없다면 몇분이라도 먼저 피신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경고 시스템과 대피시설을 지어야 할 것이다.
가령 배수·저류시설은 수십년 전 강수량 기준으로 설계돼 있다.
홍수 대응 수준이 시간당 70㎜인데 100㎜가 넘는 호우가 쏟아지면 그 시설은 무용지물이 된다.
기준을 높여 다시 건설해야 한다.
감사원도 지난해 3월 과학적으로 기후예측을 하지 않은 채 댐·교량 등 사회기반시설 사업을 시행해 침수, 붕괴 위험이 증가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기후재난은 생명과 재산 피해를 내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국가 물류체계와 에너지 공급망을 흔들 수도 있다.
국가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재난대응 체계는 그만큼 중요하다.
구식 매뉴얼로는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된 극한호우에 대처하기 어렵다.
재난을 과학적으로 예측·예고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더 튼튼한 방재시설을 구축해야 한다.
인공지능과 드론 등 첨단과학 기술을 이용한 조기경보 시스템과 구조체계 도입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컨트롤타워도 새로 갖출 필요가 있다.
부처 간 협업이 현장에서 곧바로 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효율적인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
[fn사설] ‘뉴노멀’된 극한호우에 맞춰 대비책 전면 개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