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의원들이 18일 국회 의원회관 내 압수수색 중인 권성동 의원실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민의힘이 당 혁신을 둘러싼 내분과 자당 일부 중진 의원에 대한 특검 수사 등으로 벼랑 끝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한국갤럽이 18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1주일 전과 같은 19%였지만 더불어민주당과의 격차는 27%포인트 차로 더 벌어졌다.
다음 달 22일 당 대표 경선을 위한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했지만 당의 자중지란은 수습될 기미가 없다.
안철수·조경태 의원에 이어 대선 후보였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이재명 정권의 폭주를 막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변화를 거부하고 내부 분열을 극복하지 못하면 정부·여당을 제대로 견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와중에 ‘윤석열 어게인’을 주장하는 전한길 씨가 최근 입당한 뒤 대표 경선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주장한 것을 둘러싸고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강력한 ‘인적 쇄신’을 추진하는 윤희숙 당 혁신위원회가 출범 10여 일 만에 좌초할 위기에 처했다.
국민의힘은 21일 의원총회에서 윤 위원장이 제기한 ‘당헌·당규에 계엄·탄핵 사죄 명시’ ‘당원소환제 강화’ 등 주요 혁신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하지만 당내 반발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국민의힘이 혁신안을 거부한 채 전대 체제로 돌입하게 되면 혁신위는 사실상 동력을 잃게 된다.
국민의힘이 전면 쇄신을 거부하고 대여(對與) 견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당의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
제1야당이 집안싸움에 매몰돼 여당과 대통령실의 독선·독주에 제동을 걸지 못한다면 의회민주주의가 퇴행할 수 있다.
야당이 계엄·탄핵 사태에 대한 참회와 절연도, 당 혁신도 하지 않다 보니 위법·도덕성 논란이 많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지적도 큰 파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야당은 정부·여당의 ‘더 센’ 상법 개정안 추진과 법인세 증세 시도 등에도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도태되지 않고 생존하려면 우선 과거 잘못에 대해 뼈저리게 반성하고 기득권을 내려놓는 등 전면 대수술을 해야 한다.
또 내분을 멈추고 치열한 자세로 여권 비판과 여야 협력, 대안 제시 등을 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사설] 위기의 野 전대 돌입, 전면 쇄신·견제 기능 없으면 미래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