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후보 지명 21일 만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철회 결정을 내렸다.
논물 표정 등의 의혹으로 도덕성 논란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이 후보자는 새 정부의 국무위원 후보자 가운데 첫 낙마 사례로 남게 됐다.
이 후보자가 지난달 29일 지명됐을 때만 해도 이런 결말을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당시 이 후보자를 소개하면서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함께 “국민추천제를 통해 다수 추천이 접수된 인물”이라고 밝혔다.
국민추천제는 새 정부가 야심 차게 도입한 국민 주도의 인사 추천·검증 제도로, 여기서 많은 추천을 얻은 이 후보자에 대해 대통령실은 큰 기대를 드러냈다.
대통령실은 이 후보자가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위원장을 맡았다”며 “미래 인재 육성과 국가 교육 균형 발전에 힘쓸 것”이라고 힘을 싣기도 했다.
그러나 지명 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충남대 교수 시절 집필한 논문들이 제자의 논문을 표절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두 딸의 미국 조기 유학과 관련해 한국 교육을 책임질 장관 후보자로서는 부적절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지난 16일 열린 인사청문회 이후 야권은 의혹이 충분히 소명되지 않았다며 자진해 사퇴하거나 이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야당뿐 아니라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 모임인 ‘범학계 국민 검증단’(검증단)이 이 후보자 논문이 표절이라고 주장하고 진보 성향의 교수·연구자 단체인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민교협)와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마저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날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이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두고 고심했고, 이날 오후 늦게 이 후보자만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론 내렸다.
논문 표절 의혹 등이 국회 청문회를 통해 어느 정도 해명됐다고 판단했으나 교육계 반발 등이 지속하면서 결국 낙마로 이어진 것으로 정치권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새 장관이 임명될 때까지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부 차관으로 임명된 최은옥 차관 중심으로 유급 대상인 8천명 의대생의 2학기 복귀 문제 등에 대한 해법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새 장관 후보자 지명부터 임명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 예상할 수 없다”면서 “당분간 최 차관 중심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李 대통령, 21일만에 접은 ‘이진숙 카드’...논문 표절 의혹 등 치명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