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기후변화 영향…“더 강하게, 자주 발생할 것”
일상이 된 극한호우…한국일보 “사고 예방 인프라에 투자 늘려야”
동아일보 “민심 수용이 진짜 소통…이진숙-강선우 지명 철회해야”
▲ 2025년 7월19일 KBS 뉴스특보 유튜브 화면 갈무리.
전국적으로 집중호우가 이어지고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20일 새벽까지 10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다.
집중호우 피해로 인해 주민 1만2921명이 대피했다.
19일 신문에선 기후변화로 일상이 된 극한 기후 현상을 기존 인프라가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일보는 과거 기준으로 지어져 현재의 폭우를 감당할 수 없는 배수·저수 시설을 확충하고, 예보·경보·대피 시스템을 정교하게 가다듬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20일 행정안전부가 낸 '국민 안전관리 일일 상황'과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까지 최근 집중호우에 따른 인명피해는 사망 10명, 실종 9명으로 확인됐다.
사망자는 경기 오산 1명, 충남 서산 2명, 충남 당진 1명, 경남 산청 6명이었다.
실종자는 광주 북구에서 2명, 산청에서 7명이 나왔다.
도로 침수와 토사 유실, 하천시설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는 1920건, 건축물·농경지 침수 등 사유 시설 피해는 2234건으로 파악됐다.
이번 집중호우 피해로 14개 시·도, 86개 시·군에서 9504세대, 총 1만2921명이 대피했다.
당장 배수구와 배수로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침수 피해를 키운 지역이 적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동아일보는 기사 <지대 낮은 당진시장 비오면 '물그릇'…"배수구가 오히려 물 뿜어">에서 "(충남 당진시의) 당진시장은 지대가 낮아 비가 오면 물을 담는 '물그릇'으로 변한다"며 "시장 근처에 2002년에 완공된 배수펌프장이 분당 350t을 배수할 수 있지만, 이번 폭우는 감당하지 못했다.
배수펌프장 증설은 2028년 1월에야 이뤄질 예정"이라고 했다.
많은 배수구가 나뭇가지나 쓰레기 등으로 막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 동아일보 사진기사 갈무리. 장마철을 앞두고 배수로 점검이 부진했던 점도 지적됐다.
동아일보는 "환경부에 따르면 5월 기준 지방자치단체가 청소나 점검을 끝낸 배수로는 127만578개로 집계됐다.
전체(437만7467개)의 29% 수준"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빗물펌프장을 증축하고 하천을 더 깊게 파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당장 배수구를 덮은 이물질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기사 <서산·광주 등 하루 새 한달치 비…'100년 만의 폭우' 일상화>에서 기후변화 영향으로 이런 폭우가 점점 더 강하게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비일상의 일상화"(김해동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가 진행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 한국일보 기사 갈무리. 한국일보는 "주목할 건 한반도 남쪽 해수 온도가 높아져 고온다습한 공기가 많이 유입되기 쉬운 조건이 됐다는 점"이라며 "여기에 기압계 배치상 띠 모양 비구름대가 한 지역에 오래 머무는 상황이 공교롭게 겹치면서 특정 지역에서 하늘이 뚫린 듯 많은 비가 쏟아졌다"고 설명했다.
김해동 교수는 한국일보에 "최근 남쪽 해수 온도가 30도 정도인데, 그로 인해 뜨거운 공기가 유입되고 대기 불안정으로 강한 비를 뿌리는 연직운(수직으로 두껍게 발달한 구름)이 발달하게 됐다"며 "(기후변화 영향으로) 최근에는 100년에 한 번 찾아올 법한 강수가 곳곳에서 매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일상이 된 극한호우…한국일보 "사고 예방 인프라에 투자 늘려야" 신문들은 공통적으로 기후변화로 일상이 된 극한 기후 현상을 기존 인프라가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사설에서 "폭염과 집중 호우가 교차하는 극한 날씨가 어느새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됐지만 우리 도시 인프라와 방재 시스템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기후 재난 대응에 있어 근본적이고 선제적으로 시스템 전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했다.
동아일보 역시 사설 <200년 만의 '괴물' 폭우…지금 대응체제론 감당 못 한다>에서 이번 폭우에 대해 "지금처럼 기온이 계속 상승한다면 앞으로 빈번하게 발생할 일"이라며 "하지만 이런 극한 기후를 기존 방재 인프라가 감당하지 못하다 보니 인명·재산 피해가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전국 대부분의 배수·저류 시설이 30년 또는 50년 빈도 강우량을 기준으로 설계됐는데 이미 그 예측을 넘어선 비가 내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지난해 3월 감사원은 기온 상승 등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했더니 2004년 설계 기준에 맞춰 지어진 댐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교량 역시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며 홍수 방어 인프라 기준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며 "극한 기후가 이제 일상이 된 만큼 이를 대비할 수 있는 방재 시스템을 갖추는 데 속도를 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 한국일보 사설 갈무리. 한국일보도 일상이 된 극단적 집중호우에 비상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사설 <여름 일상 극한호우…더 많은 방재 투자, 더 비상한 경계를>에서 "결국 장기적으로 집중호우에 대비하고 침수 사고를 예방하는 인프라에 투자를 계속 늘려야 한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인프라 확충에 비용과 시간이 든다는 점을 감안해 일단은 방재 관련 경계심을 높이는 게 피해 방지를 위해 필수적"이라며 "안전 관련 신고가 접수되면 과하다 싶을 정도로 철저하게 사람을 대피시키고 안전이 확인될 때까지 점검을 거듭해야 한다.
계속 신고를 무시하다가 14명의 목숨을 잃은 2023년 오송 지하차도 침수의 비극을 되풀이할 수는 없다"고 했다.
동아일보 "민심 수용이 진짜 소통…이진숙-강선우 지명 철회해야" 이재명 정부 1기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가운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확산되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 19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인사청문회와 관련한 대통령실 내부 보고 및 관련 후속 논의는 내일(20일)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해 동아일보는 "길게 검토할 것 없이 두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하는 것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결정"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두 후보자가 모두 도덕성은 물론 자질이나 역량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사실은 사전 검증 및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미 충분히 입증이 됐다"고 지적한 뒤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 "'이공계 관행' 운운하며 자신이 연구과제를 수주했기 때문에 제자들이 실험해 논문을 썼더라도 자신이 논문의 제1저자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지만, 이공계 교수들조차 '그런 관행은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동아일보 사설 갈무리.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서도 "보좌관에게 자택 쓰레기를 버리라거나 변기 수리를 지시했다는 갑질 의혹은 장관 후보자의 언행이라 부르기도 민망할 수준"이라며 "여성과 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를 보살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는 중대한 결격 사유가 아닐 수 없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이 대통령을 향해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읽고, 때로는 그것이 정치적으로 불리하거나 원하지 않는 방향이라도 과감히 수용하는 것이 '진짜 소통'"이라며 "대선 때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없다'고 한 이 대통령이다.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는 것만이 이재명 정부 5년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이라고 했다.
한국일보 역시 사설에서 여권이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 관련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결단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일보는 "당장 이진숙 교육·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청문회 이후에도 부정적 여론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며 "사정이 이런데도 여권에서는 '현역 의원이 낙마한 전례가 없다'며 강 후보자를 옹호하는 기류가 여전하다.
여권 일각에서는 복수의 장관 후보자가 사퇴하거나 임명 철회될 경우 야당에 '인사검증 시스템 부재' 공세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는 "흠결 없는 인사를 찾아보기 어려운 검증 부실은 여권의 성찰이 요구되는 사안이지 임명 강행 구실이 될 수 없다"며 "물론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이 마음만 먹으면 당장의 공세는 피할 수 있겠으나 인사도 폭주한다는 인상만 남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닷새간 폭우 19명 사망·실종…동아일보 "지금 대응체제론 감당 못해"